안전보건경영
- Sustainability
- Social
- 안전보건경영
안전보건 비전 및 전략
효성중공업㈜ 중공업 부문은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한 비전과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경안전보건방침
효성중공업㈜ 중공업 부문은 인간존중과 환경보전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음의 환경안전보건 방침을 준수합니다.
안전보건 조직 체계
안전보건 활동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운영

안전보건시스템 관리 (ISO 45001, KOSHA-MS) |
효성중공업 중공업 부문은 안전보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ISO 45001, KOSHA-M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
안전보건 관계법령 Audit 및 개선 지원 |
안전사고 및 법적 위반 사항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안전보건 관계법령 Audti를 통해 점검을 하고 개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안전보건 예산 수립 및 집행 | 재해예방 및 유해·위험요인의 개선에 필요한 예산을 편성하고, 제대로 집행되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
적격수급업체 선정 및 관리 |
계약단계에서 부터 평가를 통해 안전보건역량을 갖춘 수급업체를 선정하고 있으며, 정기평가(1회/반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
사업장 관리

국내/외 사업장 및 설치현장 안전점검 및 지도 |
국내/외 사업장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점검을 통해 개선 및 지도하고 있으며, 특히 대표이사도 직접 반기 1회 이상 현장을 방문하여 안전관리 상태를 확인하고 개선 지원하고 있습니다. |
---|---|
사업장 위험성평가 활성화 |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의 핵심인 위험성평가를 활성화 시키고, 발굴된 위험요인을 근원적으로 개선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
철저한 사고 조사 및 재발방지대책 수립 |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RCA 등 전문기법을 이용하여 재발방지대책을 철저히 수립 및 수평전개를 실시하여 유사사고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
10대 Safety Golden Rules 준수 상태 Auidt |
효성중공업 중공업PG는 절대 안전수칙인 10대 Safety Golden Rules를 제정하여 사업장 및 설치현장에 배포 하였습니다. 또한 Safety Golden Rules 준수 상태를 상시로 점검하여 개선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
안전역량 강화
역량향상을 위한 교육지원 | 관리감독자 안전리더십, 안전교육 강사 양성 과정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안전관계자들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
---|---|
역량기반의 안전보건 인력배치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 단순히 법적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수준이 아닌, 역량을 갖춘 안전보건 인력을 사업장에 배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안전 Knowledge 교육 및 Skill 지도 |
16개의 Knowledge(회사 Vision, 사고조사의 이해 등)를 지도하고, 16개의 Skill(규정 작성, 사고 초기 대응 Skill 등)을 지도하여 안전관계자들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
안전점검 백서, Guide Book 배포 |
현장에서 주로 지적되는 사항을 정리한 안전점검 백서, 현장에서 준수해야 될 주요 안전수칙과 법적 사항을 정리한 Guide Book을 배포하여 교육자료로 활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
Safety Golden Rules
효성중공업은 현장 중심의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10대 Golden Safety Rule 을 선정하여 중점 관리하고 있습니다.
-
중량물 하부
출입 금지 -
작업허가서 승인
전 작업 금지 -
안전장치
해제금지 -
가동설비 임의
출입 금지 -
작업/운전/보행 중
휴대폰 사용금지
-
지정된 안전
보호구 착용 -
밀폐공간
산소농도 측정 -
고소작업시
안전벨트 체결 -
작업장 내
안전통로 확보 -
정비 / 수리 중
안전표지판 부착